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
- 거리두기 3단계
- 디지털 교도소 글
- 스키마
- 2021 장기요양보험료율
- 부산 비 사망
- 수학교육학
- 합포교회 확진자
- 구성주의
- 상암 SBS 폐쇄
- 신도시 청약
- 피아제
- 행동주의
- 브루너
- 기아차 소송
- 손다이크
- 신상공개된 고대생 사망
- 합포교회
- 딘즈
- 상암 코로나 확진자
- 스키너
- 빗썸 코인빗
- 교육학
- 3기 신도시 청약
- 합포교회 코로나
- 코인빗 시세조작
- 강남 갭투자 반토막
- 부산 홍수
- 스켐프
- 기아차 통상임금 논쟁 소송
- Today
- Total
목록교육학 (13)
수학교육학 이론
추상적인 수학 학습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과정의 경로에 따라 학습을 해야 한다. 인지 경로에 관한 브루너의 이론을 알아보기로 한다. 브루너는 교수-학습 이론은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경로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지 발달 이론과 상호 관련을 맺고 서로 시사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브루너는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발달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 이론에서 어떤 영역의 지식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정으로 표상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1.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개념,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실물 그대로의 제시를 통해서 행동화, 조작화의 신체적 동작으로 표현하는 행동적 표현양식(enactive mode of rep..
브루너(Bruner) - 지식의 구조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브루너 하면 지식의 구조 먼저 외우고 들어가면 좋답니다!! 브루너는 자신의 저서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을 통하여 학교에서 지식의 구조를 지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브루너가 말하는 지식의 구조란 '각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 즉 단순한 사실들이나 잡다한 현상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이러한 사실이나 현상을 서로 관련짓고 체계화하는 주요 개념이나 원리이다. 따라서 지식의 구조를 지도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이점이 있다.1. 기본적 사항을 이해하면 내용을 훨씬 쉽게 파악할 수 있다.2. 세세한 사항은 구조화된 패턴 안에 들어 있지 않으면 쉽게 잊어버린다.3...
피아제(Piaget) - 아동의 인지 발달피아제는 조작적 구성주의의 대표적인 교육학자이죠그럼 피아제의 아동 인지 발달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피아제에 의하면 아동의 인지 발달은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를 단계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물론 각 단계가 나타나는 시기는 아동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각 단계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피아제가. 감각운동기 생후부터 약 2세 정도까지 지속하는 감각운동기의 출발점은 삼키기, 빨기, 혀 움직이기, 울기 등과 같은 타고난 생물학적인 반사 작용과 순환 반응이며, 순환 반응이란 우연히 획득된 어떤 새로운 결과의 능동적인 재생 행위를 말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행..
1. 활동주의 교육사상의 역사 활동주의의 기원을 르네상스 시대와 그 정신 가운데에서 그리고 루소(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가운데에서 찾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것은 인간의 자연에의 복귀이며, 자연이야말로 인간의 원초적인 활동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연 가운데의 활동을 통해서 그 문화를 만들어내었다. 인간은, 자신도 역시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자연의 질서를 쫓아서 성장하며, 따라서 교육자는 인간의 자연법칙을 탐구하여 그에 따라서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이 곧 활동주의의 원천인 것이다. Comenius는 인간에게는 활동을 즐기는 경향성이 있는 것을 인정하고, 감각적-신체적 활동이야말로 가장 자연스럽고 정당한 교육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루소는 '책' 대신에 '자연' 가운데..
가네(Gagne)는 1916년 8월 21일생으로 2002년 4월 28일 사망하였다. 그는 '학습의 조건'을 연구한 미국의 교육심리학자이다. 가네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공군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명령 연구하였다. 이후 가네는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과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훈련과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교수 이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가네의 업적 중 대표적인 것은 학습에 존재하고, 서로 다른 환경은 다른 학습 유형을 끌어낸다는 가네의 가정이다. 가네(Gagne)는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의 서로 다른 특성과 구조 그리고 학습자에 따른 다른 조건과 성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하였다. 학습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언어적 정보, 지적기능, 인지 전략, 운동기능, 태도 등의 다..
1. 프로그램 학습 프로그램 학습이라는 용어는 teaching machine(강화를 위하여 잘 고안된 도구)의 프로그램에서 생긴 것으로, Skinner는 프로그램 학습과 teaching machine은 자신의 학습 강화이론의 연구 결과로 제안된 것이지, 단순히 교수 행위의 노력을 절감하기 위한 교육 제도의 기계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학습은 학습 행동을 정확하게 목표로의 도달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합리적으로 구성된 학습으로서 체계적으로 조직된 자율적 교수-학습 방식이기 때문에 학습 내용이나 정보가 교사의 도움 없이 학습자 단독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교수 방안을 의미한다. 즉, 학습자가 일련의 경험을 통해 프로그램 작성자가 의도하는 학습 목표에 점차 도달하도록 하는 ..
행동주의 심리학 - 스키너(Skinner)스키너는 사실 심슨에 나오는 교장 선생님으로 더 유명한 것 같네요오늘은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키너(Skinner)(1904~1990)는 행동주의를 발전시킨 하버드 대학 심리학자다. 그는 복잡한 행동을 조작적 조건화라는 원리를 통해 의식과 관련 짓지 않고 설명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스키너(Skinner)는 반응-자극 학습원리, 즉 행동이 먼저 발생하고 그 결과로 자극이 따르게 된다는 원리이다. 스키너(Skinner)는 행동주의에 강화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강화는 반응에 이어서 제공되는 자극을 말하는데, 이 자극에 따라서 반응의 빈도가 달라진다. 스키너(Skinner)는 모든 생물은 강화를 받아 특정 행동을 하게끔 학습된다고 주장한다. 스키..
연합(행동)주의 심리학 - Thorndike (3)손다이크의 연합주의 심리학 어렵진 않지만 내용이 너무 많으시죠??그래도 조금만 더 힘내서 끝까지 공부해 봐요!! *추론의 본질 Thorndike는 사고가 의도적이고, 새로운 문제를 다루고, 또 반응하기 위해 많은 bond가 조직되어 작용할 때, 그것을 추론이라고 한다.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의 경우 모두 사실들을 요소로 분석하고, 당면한 문제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소를 선택하고, 그들 각각에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부과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흔히 추론에 관해 다음과 같은 판단을 하곤 한다. 즉, 추론을 습관 형성과 대립하는 어떤 것으로 간주하거나, 추론에 의한 '원리의 이해'를 '기계적인' 계산 과정, 문제 읽기, 사실 기억하기 등 '단순한' 습관과 기..
연합(행동)주의 심리학 - Thorndike (2)손다이크는 학습 법칙들이 중요하죠오늘은 손다이크의 학습 법칙들을 위주로 소개해 드릴까해요 *Thorndike의 학습 법칙들1. 효과의 법칙 - 이 법칙은 어떤 관계가 주어졌을 때 많은 연습이 뒤따르는데 연습 도중 학습자가 만족한 상태인가 괴로움이 따른 상태인가에 따라 그 과제에 관련된 bond는 강화되거나 약해진다. 그리고 성공에 대한 보상은 학습을 보증하는 가장 좋은 요인이다. 이러한 학습 이론에 따르면 학교에서 학습할 때 학생들이 흥미와 즐거움 상태로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이 학교 수학에서 첫 번째 학습경험을 할 때 교사는 대단히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했을 때 성공적으로 풀어 결과에 대한 만족감을 주어야 하며 칭찬과 ..
연합(행동)주의 심리학 - Thorndike여러분은 손다이크 하면 뭐가 제일 먼저 떠오르시나요?단연 콧수염이겠죠??오늘은 손다이크의 연합주의 심리학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Thorndike에 의하면, 어떤 상황에서든 동물은 여러 반응을 보이며, 동물의 행동은 상황과 행동 사이의 '결합' 즉 'bond(bond)'의 강도에 의존한다고 한다. 이러한 생각과 가장 자주 관련되는 실험은 열쇠를 걸어 넘어뜨리면 열리는 나무로 된 상자에 고양이를 가두는 실험이다. 고양이는 상자에서 나오려고 할 것이며, 벽을 할퀴고 긁을 것이다. 결국 우연히 자물쇠를 걸어서 당기게 되어, 문을 열어 밖으로 나갈 것이다. 다시 그 상자에 가두어지게 되면, 고양이는 벽을 다시 긁고 할퀼 것이다. 이런 실험이 반복되면서 고양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