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상공개된 고대생 사망
- 상암 코로나 확진자
- 피아제
- 손다이크
- 부산 비 사망
- 디지털 교도소 글
- 합포교회 코로나
- 부산 홍수
- 구성주의
- 딘즈
- 합포교회 확진자
- 거리두기 3단계
- 기아차 소송
-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
- 신도시 청약
- 스키너
- 2021 장기요양보험료율
- 강남 갭투자 반토막
- 코인빗 시세조작
- 교육학
- 행동주의
- 스키마
- 스켐프
- 합포교회
- 기아차 통상임금 논쟁 소송
- 3기 신도시 청약
- 상암 SBS 폐쇄
- 빗썸 코인빗
- 수학교육학
- 브루너
- Today
- Total
수학교육학 이론
브루너(Bruner) - EIS이론 본문
추상적인 수학 학습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과정의 경로에 따라 학습을 해야 한다. 인지 경로에 관한 브루너의 이론을 알아보기로 한다. 브루너는 교수-학습 이론은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경로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지 발달 이론과 상호 관련을 맺고 서로 시사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브루너는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발달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 이론에서 어떤 영역의 지식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정으로 표상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
1.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개념,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실물 그대로의 제시를 통해서 행동화, 조작화의 신체적 동작으로 표현하는 행동적 표현양식(enactive mode of representation)
2. 개념을 충분히 정의하지 않고도 영상을 통해서 그림이나 모형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가시적 표현 양식 (iconic mode of representation)
3. 법칙과 원리에 의해 지배되는 상징적 체제에서 배출된 논리적 명제에 의한 기호나 문자식으로 지식을 이해하는 상징적 표현 양식 (symbolic mode of representation)
여기에서 행동적 표현 양식은 조작적인 활동이 중심이 된다. 가시적 표현 양식은 내적인 심상에 근거를 두고 시각적 또는 다른 감각적 조작에 의하여 지식을 그림이나 도식으로 표현하는 것에 있다. 상징적 표현 양식은 융통성 있는 사고 체계에 근거를 두고 언어나 문자, 기호 등을 사용하여 지식을 표현하는 것으로 고차적인 문제 해결 능력의 기초가 된다. 수학적인 개념을 너무 일찍 상징적 표상에 의존하면 상징과 사물간의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지식의 구조는 표현 양식, 경제성, 생성력의 세 가지 특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잘 구조화된 지식이란 올바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경제성과 생성력이 있도록 조직된 것이다. 브루너는 지식의 획득은 그 형태가 무엇이든 능동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개인은 들어오는 정보를 이전에 획득된 심리적 참여 체제와 관계지음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브루너는 어떤 지식도 세 가지 양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본다. 어떤 결과에 도달하는 데는 거쳐야 할 일련의 동작을 실제로 보이는 행동적(enactive) 표현, 개념을 완벽하게 규정하지 않고 영상이나 도해로 보이는 가시적(iconic) 표현, 논리적 규칙의 지배를 받는 상징적(symbolic) 표현이 그것이다. 학습자의 인지 발달 수준이 낮으면 행동적 표현 양식이, 학습자의 발달수준이 높으면 상징적 표현 양식이 이용될 수 있다. 표현 양식의 세 수준은 경제성 수준에서 평가해 볼 수도 있다. 행동적 표현보다는 가시적 표현이, 가시적 표현보다는 상징적 표현이 보다 함축적으로 경제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동들은 표현 양식 면에서 행동적 표현, 가시적 표현, 상징적 표현의 순서로 발달하기 때문에 교수-학습의 경로도 같은 순서로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브루너는 인지 경로를 처음에는 행동적, 행동적, 구체적인 활동 수준으로 아동들이 실제 구체적 물건 조작 활동으로 나무도막을 정사각형으로 짜 맞추어 보게 하고, 두 번째는 가시적 수준으로 조작 활동에서 얻은 지식을 그림이나 도식에 의해 상상으로 머릿속에 그려보고, 마지막 단계에는 상징적 수준으로 수나 문자, 기호를 사용하여 형식화해 보는 것으로 인지 경로를 설명하고 있다.
'수학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enes - 수학학습 단계 (0) | 2018.06.26 |
---|---|
Dienes의 수학학습이론 (0) | 2018.06.26 |
브루너(Bruner)의 발견학습 (0) | 2018.06.24 |
브루너(Bruner) - 지식의 구조 (2) | 2018.06.22 |
브루너(Bruner)의 수학학습 심리학 (0) | 201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