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1 장기요양보험료율
- 3기 신도시 청약
- 기아차 통상임금 논쟁 소송
- 합포교회
- 딘즈
- 합포교회 확진자
- 상암 코로나 확진자
- 교육학
- 부산 홍수
- 행동주의
- 피아제
- 브루너
- 수학교육학
- 신도시 청약
- 스키너
- 거리두기 3단계
- 부산 비 사망
- 기아차 소송
- 스키마
- 스켐프
- 합포교회 코로나
- 디지털 교도소 글
- 신상공개된 고대생 사망
- 구성주의
- 내년 장기요양보험료율
- 코인빗 시세조작
- 강남 갭투자 반토막
- 손다이크
- 빗썸 코인빗
- 상암 SBS 폐쇄
- Today
- Total
목록브루너 (4)
수학교육학 이론
추상적인 수학 학습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과정의 경로에 따라 학습을 해야 한다. 인지 경로에 관한 브루너의 이론을 알아보기로 한다. 브루너는 교수-학습 이론은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경로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지 발달 이론과 상호 관련을 맺고 서로 시사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브루너는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지 발달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여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 이론에서 어떤 영역의 지식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정으로 표상해 낼 수 있다고 하였다.1.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개념, 지식 구조를 이해하는 데는 실물 그대로의 제시를 통해서 행동화, 조작화의 신체적 동작으로 표현하는 행동적 표현양식(enactive mode of rep..
(1) 발견학습이론의 배경 및 취지 브루너의 발견학습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미국의 교육과정 구조화 운동 이후부터이다. 20세기 초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아동의 흥미와 지나치게 생활 사태에 필요한 측면만을 강조함으로써 지적 발달을 도외시하게 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과정에서 학교에서 다루는 교과 내용과 과학 사이의 극심한 간극이 초래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던 중,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로 충격을 받아 1959년 우즈홀 호의에서 본격적으로 그 대처 방안을 논의한 데서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한 구조중심 교육과정이 탄생하게 되었다. 브루너의 연구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주제는 인간이 정보를 어떻게 다루는가, 혹은..
브루너(Bruner) - 지식의 구조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브루너 하면 지식의 구조 먼저 외우고 들어가면 좋답니다!! 브루너는 자신의 저서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을 통하여 학교에서 지식의 구조를 지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브루너가 말하는 지식의 구조란 '각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과 원리', 즉 단순한 사실들이나 잡다한 현상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이러한 사실이나 현상을 서로 관련짓고 체계화하는 주요 개념이나 원리이다. 따라서 지식의 구조를 지도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이점이 있다.1. 기본적 사항을 이해하면 내용을 훨씬 쉽게 파악할 수 있다.2. 세세한 사항은 구조화된 패턴 안에 들어 있지 않으면 쉽게 잊어버린다.3...
브루너(Bruner)의 수학학습 심리학브루너는 새 수학의 인식론적 골격을 제공하고 발달시켰습니다그럼 브루너의 수학학습 심리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브루너는 자신의 저서 'The Process of Education'에서 발견, 구조, 조기 준비성, 직관적 사고와 같은 아이디어를 다루고 있다. 브루너의 이 책은 1950년대 말의 수학교육 개혁 운동의 정신을 잘 파악하여, '새 수학'의 인식론적 골격을 제공하였으며 그 이후의 발달을 자극하여 왔다. 브루너의 이 저서 가운데 '학습의 준비성'이란 제목이 붙은 장은 피아제 이론에 바탕을 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더욱이 많은 부분이 피아제의 주요한 공동연구자의 한 사람인 B.Inhelder 여사의 글의 인용으로 되어 있다. 이 장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