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교육학 이론

스키마틱 학습 이론 본문

수학교육학

스키마틱 학습 이론

MEDU 2018. 6. 29. 12:52

 스켐프가 생각하고 있는 스키마의 개념은 정적인 이미지라기보다도 행동이나 사고의 양식 내지 구조에 가까우며, 피아제 이론에서의 scheme에 해당한다. 스켐프는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기존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고 본다. 시존 지식의 바탕 없이는 새로운 개념의 학습이 매우 어려운 예를 수학학습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자연수의 덧셈 연산을 할 수 없는 사람은 정수의 덧셈 여산을 할 수 없으며, 함수의 극한 개념을 모르는 사람은 미적분학을 공부할 수 없다. 스켐프는 새로운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하였다. 그는 서로 관련 있는 개념들의 구조를 스키마라고 정의하였다.

*스키마의 기능

1) 기존 지식을 통합 한다.

2) 발전학습을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한다.

3)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스키마틱 학습이란 기존의 스키마를 새로운 지식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학습이다. 스켐프는 스키마틱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2세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그의 실험 방법은 첫날에는 몇 개의 단순한 기호의 의미, 둘째 날에는 두세 개의 기호가 결합된 그림의 의미, 셋째 날에는 네 개의 기호가 결합된 그림의 의미를 지도한 다음 넷째 날에는 일곱 개 이상의 기호로 결합된 복잡한 그림의 의미를 실험집단에는 스키마틱 학습 방법으로 지도하고, 비교집단에는 암기식 방법으로 학습하게 하였다. 스켐프가 실험한 두 학습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스키마틱 학습에 의한 기억 능력이 월등히 높았다. 학습 직후는 비교집단에 비하여 138:70로 높았으며, 하루 뒤에는 138:52, 29일 뒤에는 116:14로 월등히 높았다. 이 실험 연구는 스키마틱 학습은 학습의 효과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 이것과 관련된 과제를 학습할 때도 좋은 영향을 미침을 입증해 준다. 또 스켐프에 의하면, 스키마틱 학습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더욱 흥미가 있다고 한다. 스키마틱 학습의 단점도 간과할 수 없다. 스키마틱 학습의 단점은 기존의 스키마가 잘못 형성되어 있는 경우 그 다음 학습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잘못된 스키마틱 학습은 망각률이 높은 기계적 학습보다도 훨씬 더 위험하다. 따라서 학습을 하는 순간 잘못된 스키마를 형성하지 않도록 교사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잘못된 스키마 형성의 예방은 교사와 학부모의 책임이다. 스키마틱 학습이란 의미 충실한 학습이며, 참된 이해, 관계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학습이다. 이러한 스키마틱 학습은 현재의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장래의 학습을 위해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새로 확장된 스키마와 이전의 스키마 사이의 연속성은 지식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특성인 동시에 교육의 초기에 어떠한 기본적인 스키마가 형성되는가 하는 것은 미래의 학습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스키마틱 학습의 결정적 요인은 아동의 마음 가운데 적절한 예비 스키마가 존재하는가, 어떤가 하는 학습의 준비성의 문제와 자료를 어떻게 배열해야 할 것인가 하는 자료제시의 문제이다. 아동의 현존하는 스키마와 새로운 학습자료 사이의 틈이 너무 커서 조절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참다운 학습은 불가능하며, 아동은 기계적인 학습을 할 수밖에 없음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교사는 아동의 흥미를 일으키는데 충분하면서 적절히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 아동의 현존하는 스키마의 작용에 의한 탐구를 통해서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료를 배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아직 착실히 해결되어 있지 않다. 단지 직관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이러한 학습은 그 성질상 유도된 발견학습, 개별학습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결국 스켐프의 학습이론은 동화-조절에 의한, 스키마의 자발적 구성과정에 근거한 것으로, 피아제 심리학의 수학 교육적 적용이론의 하나이며, 피아제 이론의 핵심인 scheme의 변용으로서의 학습의 개념을 수학학습이론의 바탕으로 삼으려 한 것이다.

'수학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관적 지능과 반영적 지능  (0) 2018.07.01
수학적 개념의 이해  (1) 2018.06.30
스켐프의 수학 학습 이론  (0) 2018.06.28
Dienes의 수학 학습 원리  (0) 2018.06.27
Dienes - 수학학습 단계  (0) 2018.06.26
Comments